ZIIUM 뉴스
 

 

001.png

국민연금 개혁, '더 내고 더 받기' 원한다.

국민연금 개혁을 위한 숙의 토론회에 참가한 시민들은 '재정 안정'보다 '소득 보장'에 힘을 실었습니다. 국민연금이 본래 취지대로 노후 빈곤을 해소할 수 있는 수단이 돼야 한다는 판단입니다.

현재 소득 하위 70% 노인을 대상으로 지급하고 있는 기초연금은 조세로 운영되고 있어 수급액 인상에 한계가 있고 퇴직연금 역시 수급자가 적어 실제 노후 소득을 지탱할 연금 역할이 부족하다는 분석으로 보입니다.

002.png

노인 빈곤 해결 위한 '더 내고 더 받기' 선택

22일 국회 연금특별위원회 공론화위원회(연금특위 공론화위)에 따르면 시민대표단 500인 중 56.0%는 최종적으로 현행 9%인 보험료를 13% 올리고 소득대체율을 40%에서 50%로 늘리는 '소득 보장 강화'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재정안정안(소득대체율 40%·보험료율12%)과 둘의 격차는 13.4%였으며 '의무가입 연령 상한'과 관련하여 시민대표단의 80.4%는 현재 만 59세인 의무가입 상한 연령을 64세로 높이는 방안을 선호했고 17.7%는 현행 유지를 원했습니다.

지난 3월 22일부터 29일까지 550명의 시민대표단을 대상으로 진행된 1차 설문조사에서는 보험료율을 12% 올리고 소득대체율을 40%로 유지하는 '더 내고 그대로 받기'(2안)을 선택한 시민이 44.8%로 '더 내고 더 받기'(1안) 36.9%보다 7.8%p 높았지만 토론이 진행될수록 '소득 보장 강화'로 무게 추가 기울었습니다.

1안을 선택한 시민들은 결국 국민연금이 충분히 지급해 노인 빈곤을 해소해야 한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OECD 통계 기준 40.4%로 OECD 평균 노인빈곤율인 13.1% 대보 무려 3.1배나 높습니다. 이 비율은 2085년에도 25.5%로 OECD 평균(15~16%)과 10%p 이상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소득 보장 강화가 자녀 세대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소득 보장 강화를 주장하는 전문가들은 국민연금을 24~25년 납부한 20대와 30대 청년들이 노후에 받는 국민연금이 66만원 수준으로 추산하며 이는 노인 월 최저생활비 124만3000원의 절반 수준입니다. 현재 청년들의 자녀 세대에 부담을 줄이기 위해선 국민연금 수급액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003.png

연금개혁을 하는 이유, 2055년 국민연금 고갈 예측

다만 기금 고갈 이후 재정 적자 등은 해소되어야 할 숙제로 국민연금 재정계산에 따르면 국민연금 고갈 시기는 2055년입니다. 13-50안은 연금 고갈 시점이 2062년으로 7년 미뤄지고, 12-40안은 2063년으로 8년 늦춰집니다. 기금이 소진된 이후 부과방식비용률(한 해 연금을 지급하기 위해 그해 가입자가 내야 하는 보험료율)로 전환하면 13-50안의 보험료율은 43.2%로 올라가며 국내총생산(GDP)의 11.8%가 지출로 소요되는 셈입니다.

기초연금 급여구조에 대해서는 시민 대표단의 의견이 팽팽한 가운데 국회 논의 과정에서 계속 다뤄질 전망입니다. 시민의 52.3%는 기초연금 구조를 현행 70% 이하 지급으로 유지하고 45.7%는 기초연금 수급 범위를 점진적으로 축소해 하위소득자에 대한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전문가들은 기초연금 급여구조와 수급 범위 조정은 중장기적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며 국민연금 개혁안이 자리 잡은 후 기초연금을 논의해도 늦지 않다고 전했습니다.